팀이 정보에 기반하여 제품 관련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리서치 동안 밝혀진 통찰력의 우선순위를 지정합니다.
단계
제안 시간
1~2시간
참가자
핵심 팀
통찰력 우선순위 지정을 통해 “해결해야 할 첫 번째 문제"를 더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. 이는 문제 영역과 궁극적인 솔루션을 밝혀내기 위한 비판적 사고로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함으로써 “깨달음”, 즉 통찰력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
탐색 및 구성 진행 중, 탐색 연구를 수행하고 합성한 이후입니다.
연구를 통해 발견한 모든 통찰력을 수집합니다.
참여자가 많은 경우(대략 20명 이상), 먼저 스스로에게 “이 통찰력이 이 프로젝트 또는 컨설팅 참여 기간에 대해 정보에 입각한 제품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됩니까?"라는 질문을 던져 선별 연습을 수행합니다. 각 통찰력을 “아니요” 또는 “예” 더미로 벽에 분류합니다.
팁: “이 통찰력을 사용하여 솔루션을 만들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까? 쓸모 있는 “어떻게 하면 ~할 수 있을까?”와 같은 문장으로 재구성할 수 있겠습니까?” 같은 맥락을 추가하여 이 메시지를 더욱 명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.
목록을 간소화한 후 마스킹 테이프를 사용하여 2x2 표를 만들고 다음과 같이 축에 레이블을 지정합니다.
2x2 매트릭스에서 “예” 통찰력을 구성하고 상위 3~5개의 통찰력 목록으로 끝내도록 노력합니다.
팁: 상단 오른쪽 사분면이 통찰력으로 가득 찼다면 해당 사분면 안에 두 번째 2x2 표를 그리고 떨어져 나가는 항목에 대해 논의합니다. 추가 대화를 통해 팀은 일반적으로 새로운 상단 오른쪽 사분면이 진정으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통찰력과 연관된다는 데 동의하게 됩니다.
팀이 초점을 맞출 상위 3~5개 통찰력에 동의하면 성공입니다.